🧬알고리즘/Programmers

[JavaScript] K번째 수

뉴발자 2024. 8. 23.
728x90

 

 

 

 

 

 

 

 

 

 

 

 

 

 

 

 

문제

배열 array이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한다.

 

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1.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이다.
  2.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이다.
  3.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이다.

 

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해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반환하도록 하는 함수를 작성하라.

 

 

예시

array commands return
[1, 5, 2, 6, 3, 7, 4] [[2, 5, 3], [4, 4, 1], [1, 7, 3]] [5, 6, 3]

 

1. [1, 5, 2, 6, 3, 7, 4]를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한다. [2, 3, 5, 6]의 세 번째 숫자는 5이다.


2. [1, 5, 2, 6, 3, 7, 4]를 4번째부터 4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한다. [6]의 첫 번째 숫자는 6이다.


3. [1, 5, 2, 6, 3, 7, 4]를 1번째부터 7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한다. [1, 2, 3, 4, 5, 6, 7]의 세 번째 숫자는 3이다.

 

 

나의 풀이

function solution(array, commands) {
  return commands.map((v) => {
    const [i, j, k] = v;
    const tmp = [...array].splice(i-1, j-i+1).sort((a, b) => a - b);

    return tmp[k-1];
  });
}

 

 

풀이 방법

1. 2차원 배열인 commands를 map() 함수를 사용해서 내부의 배열 값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return commands.map((v) => {
  ...
)};

 

2. v의 값인 [i, j, k] 순서대로 변수로 만들어준다.

const [i, j, k] = v;

 

3. tmp 배열을 선언하고 array를 복사해서 i번째부터 j번째까지 잘라준다.

 3-1. i번째는 index가 아닌 1부터 센 숫자이기 때문에 index에 해당하는 값을 구하기 위해 i-1부터 자른다.

 3-2. splice() 함수는 두 번째 인자로 길이를 입력받기 때문에 j-i+1 해준다.

const tmp = [...array].splice(i-1, j-i+1).sort((a, b) => a - b);

 

4. tmp 배열을 sort() 함수로 정렬한 후 k번째 자리의 숫자를 반환한다.

 4-1 k번째 또한 index가 아닌 1부터 센 숫자이기 때문에 k-1 값을 반환한다.

return tmp[k-1];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