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Programmers

[JavaScript] 햄버거 만들기

뉴발자 2024. 10. 15.
728x90

 

 

 

 

 

 

 

 

 

 

 

 

 

 

[JavaScript] 햄버거 만들기

 

 

문제

햄버거 가게에서 일을 하는 상수는 햄버거를 포장하는 일을 합니다.

 

함께 일을 하는 다른 직원들이 햄버거에 들어갈 재료를 조리해 주면 조리된 순서대로 상수의 앞에 아래서부터 위로 쌓이게 되고,

 

상수는 순서에 맞게 쌓여서 완성된 햄버거를 따로 옮겨 포장을 하게 됩니다.

 

상수가 일하는 가게는 정해진 순서(아래서부터, 빵 – 야채 – 고기 - 빵)로 쌓인 햄버거만 포장을 합니다.

 

상수는 손이 굉장히 빠르기 때문에 상수가 포장하는 동안 속 재료가 추가적으로 들어오는 일은 없으며,

 

재료의 높이는 무시하여 재료가 높이 쌓여서 일이 힘들어지는 경우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상수의 앞에 쌓이는 재료의 순서가 [야채, 빵, 빵, 야채, 고기, 빵, 야채, 고기, 빵]일 때,

 

상수는 여섯 번째 재료가 쌓였을 때, 세 번째 재료부터 여섯 번째 재료를 이용하여 햄버거를 포장하고,

 

아홉 번째 재료가 쌓였을 때, 두 번째 재료와 일곱 번째 재료부터 아홉 번째 재료를 이용하여 햄버거를 포장합니다.

 

즉, 2개의 햄버거를 포장하게 됩니다.

 

상수에게 전해지는 재료의 정보를 나타내는 정수 배열 ingredient가 주어졌을 때,

 

상수가 포장하는 햄버거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시오.

 

 

제한 사항

  • 1 ≤ ingredient의 길이 ≤ 1,000,000
  • ingredient의 원소는 1, 2, 3 중 하나의 값이며, 순서대로 빵, 야채, 고기를 의미합니다.

 

 

예시

ingredient result
[2, 1, 1, 2, 3, 1, 2, 3, 1] 2
[1, 3, 2, 1, 2, 1, 3, 1, 2] 0

 

 

나의 풀이

function solution(ingredient) {
  let cnt = 0;
    
  for (let i = 0; i < ingredient.length; i++) {
    if (
      ingredient[i] === 1 && 
      ingredient[i+1] === 2 && 
      ingredient[i+2] === 3 && 
      ingredient[i+3] === 1
    ) {
      ingredient.splice(i, 4);
      i -= 3;
      cnt++;
    }
  }
    
  return cnt;
}

 

 

다른 풀이

function solution(ingredient) {
  let stk = [];
  let count = 0;
  for (let i = 0; i < ingredient.length; i++) {
    stk.push(ingredient[i]);
    if (
      stk[stk.length-1] === 1 &&
      stk[stk.length-2] === 3 &&
      stk[stk.length-3] === 2 &&
      stk[stk.length-4] === 1
    ) {
      count++;
      stk.splice(-4);
    }
  }
  return count;
}

 

 

풀이 방법

나의 풀이

1. 매개 변수로 주어진 ingrdient의 길이 만큼 for() 문을 사용해서 반복해준다.

function solution(ingredient) {
  let cnt = 0;
  
  // 1
  for (let i = 0; i < ingredient.length; i++) {
    ...
  }
    
  return cnt;
}

 

2. 만약 ingredient의 인덱스 i 부터 인덱스 i+3 까지의 값이 [1, 2, 3, 1] 인 경우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한다.

 2-1. 해당 값을 splice() 함수를 사용해서 삭제한다.

 2-2. i의 값에서 3을 빼서 이전의 인덱스부터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든다.

 2-3. cnt 변수의 값을 1 증가시킨다.

function solution(ingredient) {
  let cnt = 0;
    
  for (let i = 0; i < ingredient.length; i++) {
    // 2
    if (
      ingredient[i] === 1 && 
      ingredient[i+1] === 2 && 
      ingredient[i+2] === 3 && 
      ingredient[i+3] === 1
    ) {
      // 2-1
      ingredient.splice(i, 4);
      
      // 2-2
      i -= 3;
      
      // 2-3
      cnt++;
    }
  }
    
  return cnt;
}

 

 

다른 풀이

1. ingredient의 각 index의 값을 저장해줄 stk(스택) 배열을 생성해준다.

for() 문을 사용해서 ingredient의 길이 만큼 반복해준다.

function solution(ingredient) {
  // 1
  let stk = [];
  let count = 0;
  for (let i = 0; i < ingredient.length; i++) {
    ...
  }
  return count;
}

 

2. ingredient 배열의 인덱스 i의 값을 stk 배열에 넣어준다.

 2-1. 만약 stk 배열의 lenght - 4 번째 값부터 length - 1 번째 값이 [1, 2, 3, 4] 와 같은지 확인한다.

 2-2. count의 값을 1 증가시킨다.

 2-3. stk 배열의 뒤에서부터 4자리를 삭제한다.

function solution(ingredient) {
  let stk = [];
  let count = 0;
  for (let i = 0; i < ingredient.length; i++) {
    // 2
    stk.push(ingredient[i]);
    if (
      stk[stk.length-1] === 1 &&
      stk[stk.length-2] === 3 &&
      stk[stk.length-3] === 2 &&
      stk[stk.length-4] === 1
    ) {
      count++;
      stk.splice(-4);
    }
  }
  return count;
}

 

 

회고

맨 처음에 작성한 코드는 ingredient의 값을 문자열로 바꾸고 replaceAll() 함수를 사용해서 "1234" 값을 바꾸는 코드였다.

function solution(ingredient) {
    const hbg = "1231";
    let order = ingredient.join("");
    let cnt = 0;
    
    while (order.includes(hbg)) {
        const len = order.length;
        order = order.replaceAll(hbg, "");
        cnt += (len - order.length) / 4;
    }
    
    return cnt;
}

 

하지만 replaceAll() 함수의 특성상 실행될 때 마다 맨 처음의 인덱스부터 탐색하기 때문에 '시간 초과' 로 인해 코드가 통과하지 못했다.

 

생각해보니 중간부분에서 원하는 값을 찾았을 때 다시 맨 처음으로 돌아갈 필요가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i에서 3을 뺀 지점부터 확인하게 된다면 경과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다른 분이 푼 방법을 보면서 알고리즘에 대해서 더 많이 풀어보고 공부해야겠다고 생각했다.

 

 

 

 

 

 

 

 

 

 

728x90

'🧬알고리즘 > Programm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문자열 나누기  (0) 2024.10.15
[JavaScript] 가장 가까운 같은 글자  (0) 2024.10.15
[JavaScript] 폰켓몬  (4) 2024.10.03
[JavaScript] 완주하지 못한 선수  (2) 2024.10.03
[JavaScript] 추억 점수  (1) 2024.10.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