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스마트폰 전화 키패드의 각 칸에 다음과 같이 숫자들이 적혀 있습니다.
이 전화 키패드에서 왼손과 오른손의 엄지손가락만을 이용해서 숫자만을 입력하려고 합니다.
맨 처음 왼손 엄지손가락은 * 키패드에 오른손 엄지손가락은 # 키패드 위치에서 시작하며, 엄지손가락을 사용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엄지손가락은 상하좌우 4가지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키패드 이동 한 칸은 거리로 1에 해당합니다.
- 왼쪽 열의 3개의 숫자 1, 4, 7을 입력할 때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 오른쪽 열의 3개의 숫자 3, 6, 9를 입력할 때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 가운데 열의 4개의 숫자 2, 5, 8, 0을 입력할 때는 두 엄지손가락의 현재 키패드의 위치에서 더 가까운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4-1. 만약 두 엄지손가락의 거리가 같다면, 오른손잡이는 오른손 엄지손가락, 왼손잡이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순서대로 누를 번호가 담긴 배열 numbers, 왼손잡이인지 오른손잡이인 지를 나타내는 문자열 han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번호를 누른 엄지손가락이 왼손인 지 오른손인 지를 나타내는 연속된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를 작성하세요.
제한사항
- numbers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numbers 배열 원소의 값은 0 이상 9 이하인 정수입니다.
- hand는 "left" 또는 "right" 입니다.
- "left"는 왼손잡이, "right"는 오른손잡이를 의미합니다.
-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 경우는 L,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 경우는 R을 순서대로 이어붙여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해주세요.
예시
numbers | hand | return |
[1, 3, 4, 5, 8, 2, 1, 4, 5, 9, 5] | "right" | "LRLLLRLLRRL" |
[7, 0, 8, 2, 8, 3, 1, 5, 7, 6, 2] | "left" | "LRLLRRLLLRR" |
[1, 2, 3, 4, 5, 6, 7, 8, 9, 0] | "right" | "LLRLLRLLRL" |
나의 풀이
function findIdx(word) {
const pads = [['1','4','7','*'], ['2','5','8','0'], ['3','6','9','#']];
for (let i = 0; i < pads.length; i++) {
for (let j = 0; j < pads[i].length; j++) {
if(pads[i][j] === word) return [i, j];
}
}
}
function distance(curr, move) {
return Math.abs(curr[0]-move[0]) + Math.abs(curr[1]-move[1]);
}
function solution(numbers, hand) {
let left = "*", right = "#";
let result = "";
for (let i = 0; i < numbers.length; i++) {
if (numbers[i]+"" === "1" || numbers[i]+"" === "4" || numbers[i]+"" === "7") {
left = numbers[i]+"";
result += "L";
} else if (numbers[i]+"" === "3" || numbers[i]+"" === "6" || numbers[i]+"" === "9") {
right = numbers[i]+"";
result += "R";
} else {
const m = findIdx(numbers[i].toString());
const distanceL = distance(findIdx(left), m);
const distanceR = distance(findIdx(right), m);
if (distanceL === distanceR) {
if (hand === "right") {
right = numbers[i]+"";
result += "R";
} else {
left = numbers[i]+"";
result += "L";
}
} else if (distanceL > distanceR) {
right = numbers[i]+"";
result += "R";
} else if (distanceL < distanceR) {
left = numbers[i]+"";
result += "L";
}
}
}
return result;
}
다른 풀이
function solution(numbers, hand) {
hand = hand[0] === "r" ? "R" : "L"
let position = [1, 4, 4, 4, 3, 3, 3, 2, 2, 2]
let h = { L: [1, 1], R: [1, 1] }
return numbers.map(x => {
if (/[147]/.test(x)) {
h.L = [position[x], 1]
return "L"
}
if (/[369]/.test(x)) {
h.R = [position[x], 1]
return "R"
}
let distL = Math.abs(position[x] - h.L[0]) + h.L[1]
let distR = Math.abs(position[x] - h.R[0]) + h.R[1]
if (distL === distR) {
h[hand] = [position[x], 0]
return hand
}
if (distL < distR) {
h.L = [position[x], 0]
return "L"
}
h.R = [position[x], 0]
return "R"
}).join("")
}
풀이 방법
나의 풀이 방법
1. 왼손은 '*', 오른손은 '#'으로 정의한 매개변수와 결과를 담을 result 변수를 선언한다.
// 1
let left = "*", right = "#";
let result = "";
2. numbers의 길이만큼 for() 문을 사용해서 반복해주면서 조건에 따라서 오른손과 왼손을 이동시키고 결과에 문자를 더해준다.
2-1. 1, 4, 7은 왼손만 누를 수 있으므로 numbers[i]의 값이 해당 값과 같다면 왼손을 이동시킨다.
2-2. 3, 6, 9는 오른손만 누를 수 있으므로 numbers[i]의 값이 해당 값과 같다면 오른손을 이동시킨다.
2-3. 위 값이 아닌 다른 값이 나오는 경우
// 2
for (let i = 0; i < numbers.length; i++) {
// 2-1
if (numbers[i]+"" === "1" || numbers[i]+"" === "4" || numbers[i]+"" === "7") {
left = numbers[i]+"";
result += "L";
// 2-2
} else if (numbers[i]+"" === "3" || numbers[i]+"" === "6" || numbers[i]+"" === "9") {
right = numbers[i]+"";
result += "R";
// 2-3
} else {
...
}
}
3. 해당 문자의 index를 찾는 findIdx() 함수를 작성한다.
3-1. 패드의 각 행의 index를 0, 1, 2라고 생각하고 배열을 생성했다. '1'은 [0,0]이 되고 '#'은 [2,3]이 된다.
3-2. 이차원 배열인 pads를 이중 포문을 사용해서 해당 값과 일치하는 index 값을 찾아낸 후 반환한다.
// 3
function findIdx(word) {
// 3-1
const pads = [['1','4','7','*'], ['2','5','8','0'], ['3','6','9','#']];
// 3-2
for (let i = 0; i < pads.length; i++) {
for (let j = 0; j < pads[i].length; j++) {
if(pads[i][j] === word) return [i, j];
}
}
}
4. 3번에 찾은 index값을 사용해서 이동해야하는 칸의 수를 구하는 함수 distance() 를 작성한다.
4-1. 만약 현재 왼손이 '1'에 있고 numbers[i]의 값이 8이라면, '1' -> '2' -> '5' -> '8', 총 3칸이다.
4-2. 4-1의 동선을 구하려면 [0,0] -> [1,2]까지 간다고 할 때 x로 1, y로 2만큼 이동한다.
x의 값은 '1'의 index[0] (0) 과 '8'의 index[0] (1) 을 뺀 절대값을 구해주면 된다. -> x: 1
y의 값은 '1'의 index[1] (0) 과 '8'의 index[1] (2) 을 뺀 절대값을 구해주면 된다. -> y: 2
// 4
function distance(curr, move) {
return Math.abs(curr[0]-move[0]) + Math.abs(curr[1]-move[1]);
}
5. 3, 4번의 함수를 사용해서 numbers[i]의 위치와 각 왼손, 오른손의 위치의 거리를 구한다.
5-1. 왼손 -> numbers[i], 오른손 -> numbers[i] 의 거리가 같은 경우 hand의 값을 사용해서 손을 이동시켜주고 결과값에 더해준다.
5-2. 왼손의 거리가 오른손의 거리보다 멀 때, 오른손을 이동시키고 결과값에 더해준다.
5-3. 오른손의 거리가 왼손의 거리보다 멀 때, 왼손을 이동시키고 결과값에 더해준다.
// 5
const m = findIdx(numbers[i].toString());
const distanceL = distance(findIdx(left), m);
const distanceR = distance(findIdx(right), m);
// 5-1
if (distanceL === distanceR) {
if (hand === "right") {
right = numbers[i]+"";
result += "R";
} else {
left = numbers[i]+"";
result += "L";
}
// 5-2
} else if (distanceL > distanceR) {
right = numbers[i]+"";
result += "R";
// 5-3
} else if (distanceL < distanceR) {
left = numbers[i]+"";
result += "L";
}
'🧬알고리즘 > Programm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3진법 뒤집기 (0) | 2024.08.29 |
---|---|
[JavaScript] 두 개 뽑아서 더하기 (0) | 2024.08.29 |
[JavaScript] 크레인 인형 뽑기 게임 - 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 (0) | 2024.08.27 |
[JavaScript] 실패율 - 2019 카카오 블라인드 코딩 테스트 (0) | 2024.08.26 |
[JavaScript] 모의고사 (0) | 2024.08.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