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크레인 인형 뽑기 게임 - 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 [JavaScript] 크레인 인형 뽑기 게임 - 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https://blog.kakaocdn.net/dn/bDxsXr/btsJget7um3/SoJuve4z0oIK9BLMHPBlwk/img.png)
문제
게임개발자인 "죠르디"는 크레인 인형뽑기 기계를 모바일 게임으로 만들려고 합니다.
"죠르디"는 게임의 재미를 높이기 위해 화면 구성과 규칙을 다음과 같이 게임 로직에 반영하려고 합니다.
![[JavaScript] 크레인 인형 뽑기 게임 - 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 - 문제 [JavaScript] 크레인 인형 뽑기 게임 - 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 - 문제](https://blog.kakaocdn.net/dn/CYTSK/btsJfEfERG0/KT1YUEEEjYGxkVzL1GM3Ok/img.png)
게임 화면은 "1 x 1" 크기의 칸들로 이루어진 "N x N" 크기의 정사각 격자이며
위쪽에는 크레인이 있고 오른쪽에는 바구니가 있습니다. (위 그림은 "5 x 5" 크기의 예시입니다).
각 격자 칸에는 다양한 인형이 들어 있으며 인형이 없는 칸은 빈칸입니다.
모든 인형은 "1 x 1" 크기의 격자 한 칸을 차지하며 격자의 가장 아래 칸부터 차곡차곡 쌓여 있습니다.
게임 사용자는 크레인을 좌우로 움직여서 멈춘 위치에서 가장 위에 있는 인형을 집어 올릴 수 있습니다.
집어 올린 인형은 바구니에 쌓이게 되는 데, 이때 바구니의 가장 아래 칸부터 인형이 순서대로 쌓이게 됩니다.
다음 그림은 [1번, 5번, 3번] 위치에서 순서대로 인형을 집어 올려 바구니에 담은 모습입니다.
![[JavaScript] 크레인 인형 뽑기 게임 - 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 - 문제 [JavaScript] 크레인 인형 뽑기 게임 - 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 - 문제](https://blog.kakaocdn.net/dn/kIVOi/btsJg9ZIKo1/mScwnuH7uwEXCH62kdCREk/img.png)
만약 같은 모양의 인형 두 개가 바구니에 연속해서 쌓이게 되면 두 인형은 터뜨려지면서 바구니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위 상태에서 이어서 [5번] 위치에서 인형을 집어 바구니에 쌓으면 같은 모양 인형 두 개가 없어집니다.
![[JavaScript] 크레인 인형 뽑기 게임 - 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 - 문제 [JavaScript] 크레인 인형 뽑기 게임 - 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 - 문제](https://blog.kakaocdn.net/dn/bPuqpw/btsJgbxrgqi/YGfWxkc7B4IlwwcgWJnQ7K/img.gif)
크레인 작동 시 인형이 집어지지 않는 경우는 없으나 만약 인형이 없는 곳에서
크레인을 작성시키는 경우에는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또한 바구니는 모든 인형이 들어갈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고 가정합니다.
게임 화면의 격자의 상태가 담긴 2차원 배열 board와 인형을 집기 위해
크레인을 작동시킨 위치가 담긴 배열 mov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크레인을 모두 작동시킨 후 터트려져 사라진 인형의 개수를 반환하도록 하는 함수를 작성하세요.
제한사항
- board 배열은 2차원 배열로 크기는 "5 x 5" 이상 "30 x 30" 이하입니다.
- board의 각 칸에는 0 이상 100 이하인 정수가 담겨있습니다.
- 0은 빈 칸을 나타냅니다.
- 1 ~ 100의 각 숫자는 각기 다른 인형의 모양을 의미하며 같은 숫자는 같은 모양의 인형을 나타냅니다.
- moves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moves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1 이상이며 board 배열의 가로 크기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나의 풀이
function solution(board, moves) {
const dolls = [], idxs = [], result = [];
for (let i = 0; i < board.length; i++) {
const nums = [];
for (let j = 0; j < board.length; j++) {
if( board[j][i] !== 0 ) nums.push(board[j][i]);
}
idxs.push(nums);
}
moves.map((move) => {
if (idxs[move-1].length > 0) {
dolls.push(idxs[move-1][0]);
idxs[move-1].shift();
}
});
for (let i = 0; i < dolls.length; i++) {
if (dolls[i-1] === dolls[i]) {
result.push(...dolls.splice(i-1, 2));
i = 0;
} else if (dolls[i+1] === dolls[i]) {
result.push(...dolls.splice(i, 2));
i = 0;
}
}
return result.length;
}
풀이 방법
1. 2차원 배열 board를 for문을 사용해서 각 행 순서대로 원소를 정리해서 idxs 배열에 넣어줬다.
for (let i = 0; i < board.length; i++) {
// 각 행별 원소를 담아줄 배열
const nums = [];
// 값이 0이 아닌 경우 push
for (let j = 0; j < board.length; j++) {
if( board[j][i] !== 0 ) nums.push(board[j][i]);
}
idxs.push(nums);
}
// board: [[0,0,0,0,0],[0,0,1,0,3],[0,2,5,0,1],[4,2,4,4,2],[3,5,1,3,1]]
// idxs: [[4,3],[2,2,5],[1,5,4,1],[4,3],[3,1,2,1]]
2. moves를 map() 함수를 사용해서 move의 원소값에서 -1한 배열의 [0]번째 요소를 push해줬다.
원소값에서 -1한 이유는 배열의 index는 0부터 시작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push한 행의 제일 앞 원소를 shift() 함수를 사용해서 제거했다.
moves.map((move) => {
if (idxs[move-1].length > 0) {
dolls.push(idxs[move-1][0]);
idxs[move-1].shift();
}
});
// 원소값이 1일 경우
// idxs: [[4,3],[2,2,5],[1,5,4,1],[4,3],[3,1,2,1]]
// 1. idxs[move-1].length는 2이기 때문에 true값이 반환된다.
// 2. idxs[move-1]의 0번째 원소인 '4'를 dolls에 push한다.
// 3. idxs[move-1]의 맨 앞의 원소를 shift() 함수로 삭제한다.
// idxs: [[3],[2,2,5],[1,5,4,1],[4,3],[3,1,2,1]]
3. 2번 작업을 모두 수행하면 [4,3,1,1,3,2,4] 값이 dolls에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원소의 값이 반복되는 부분을 찾아서 제거해주고 다시 처음부터 반복해서 제거해주는 방식으로 해결했다.
for (let i = 0; i < dolls.length; i++) {
if (dolls[i-1] === dolls[i]) {
result.push(...dolls.splice(i-1, 2));
i = 0;
} else if (dolls[i+1] === dolls[i]) {
result.push(...dolls.splice(i, 2));
i = 0;
}
}
return result.length;
// dolls: [4,3,1,1,3,2,4]
// 1. dolls[0], dolls[1]과 dolls[1], dolls[2]은 원소의 값이 다르므로 if문을 타지않는다.
// 2. dolls[2]와 dolls[3]은 같은 '1'값이므로 else if를 타게된다.
// 3. dolls[2]와 dolls[3]을 splice() 함수로 잘라내고, result 배열에 push()한다.
// 4. i = 0으로 초기화하고 다시 반복한다, dolls: [4,3,3,2,4]
// 5. dolls[1]과 dolls[2]가 같은 '3'값이므로 2~4로직을 반복한다, dolls: [4,2,4]
// 6. 앞 뒤에 같은 값이 없으므로 for문을 빠져나온다.
// 7. 반환되는 result의 값은 [1,1,3,3]이다.
// 8. result의 length를 반환해준다.
'🧬알고리즘 > Programm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두 개 뽑아서 더하기 (0) | 2024.08.29 |
---|---|
[JavaScript] 키패드 누르기 - 2020 카카오 인턴십 (0) | 2024.08.29 |
[JavaScript] 실패율 - 2019 카카오 블라인드 코딩 테스트 (0) | 2024.08.26 |
[JavaScript] 모의고사 (0) | 2024.08.23 |
[JavaScript] K번째 수 (0) | 2024.08.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