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18 [React Native] NAVER Login Error 에러 상황 React Native에서 NAVER Login 기능을 구현하고 버튼을 눌러 로그인 함수를 호출하면 아무런 에러 메시지도 없이 앱이 꺼져버리는 현상이 발생했다. 해결 방법 @react-native-seoul/naver-login 라이브러리의 버전을 다운그레이드한다. npm i @react-native-seoul/naver-login@2.3.1 ! 현재 @react-native-seoul/naver-login 라이브러리의 최신 버전은 3.0.0-rc.1 이다. 📱Mobile/오류해결 2023. 3. 24. [React Native] Firebase 문자 인증 아직 Firebase Project를 만들지 않았다면 아래 글을 참고해서 생성하고 진행하길 바란다. Firebase Project 생성 및 연동 방법[RN] Firebase 프로젝트 생성 및 연동 (tistory.com) [RN] Firebase 프로젝트 생성 및 연동Firebase 프로젝트 생성 1. 신규 Project 생성 우선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후 Firebase 사이트에 접속해준다. https://firebase.google.com/?hl=ko Firebase Firebase는 고품질 앱을 빠르게 개발하고 비즈니스를 성장시tlseoqja.tistory.com 안드로이드 앱 추가 및 프로젝트 설정 우선 이전에 생성한 Firebase Project Console로 들어간다. 그리고 앱 추가를.. 📱Mobile/React Native 2023. 3. 23. [React Native] Window에서 Firebase SHA-1 인증서 확인 Firebase에서 인증 기능을 사용하려면 SHA-1 인증서가 필요했다. SHA의 기본 정의와 인증서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SHA 란? SHA ( Secure Hash Algorithm, 안전한 해시 알고리즘) 함수들은 서로 관련된 암호학적 해시 함수들의 모음이다. 이들 함수는 1993년 미국 국가안보국 (NSA)이 처음으로 설계했으며 미국 국가 표준으로 지정되었다. SHA 함수군에 속하는 최초의 함수는 공식적으로 SHA라고 불리지만, 나중에 설계된 함수들과 구별하기 위해 SHA-0이라고도 불린다. 2년 후 SHA-0의 변형인 SHA-1이 발표되었으며, 그 후에 4종류의 변형, 즉 SHA-224, SHA-256, SHA-384, SHA-512가 발표되었다. 이들을 통칭해서 SHA-2라고도 한다... 📱Mobile/React Native 2023. 3. 22. [React Native] Firebase 프로젝트 생성 및 연동 Firebase 프로젝트 생성 1. 신규 Project 생성 우선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후 Firebase 사이트에 접속해준다. https://firebase.google.com/?hl=ko Firebase Firebase는 고품질 앱을 빠르게 개발하고 비즈니스를 성장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Google의 모바일 플랫폼입니다. firebase.google.com 메인 화면의 시작하기를 누르면 Firebase Console 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Console 화면에서 '프로젝트 추가' 버튼을 누르면 프로젝트 생성 페이지로 이동하게 된다. 생성할 프로젝트 명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프로젝트 ID를 부여해준다. 만약 ID를 직접 설정하고 싶다면 프로젝트 ID를 클릭하면 변경할 수 있다. 프로젝트명을 입력 후 계.. 📱Mobile/React Native 2023. 3. 22. [React Native] Hash Key 발급 React Native에서 Kakao Login 기능을 개발하던 중 Hash Key를 입력해야 하는 상황에 맞딱뜨렸고 발급하는 방법에 대해 찾아보고 정리해보려고 한다. Hash Key란? 해시라는 것은 임의의 길이를 가진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를 가진 데이터로 매핑하는 것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원본 데이터를 키(Key), 매핑하는 과정을 해싱(Hashing), 결과물로 나온 데이터를 해시 값(Hash value)라고 한다. 또한 이렇게 데이터를 해싱하는 함수를 해시 함수(Hash Function)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해시 함수에는 MD-5, SHA 함수가 있다. MD-5 MD는 Message Digest의 약자로, 입력된 데이터를 각 512비트의 블록들로 나누어 처리하여 128 비트 길이의 해시 값을 .. 📱Mobile/React Native 2023. 3. 20. [React Native] Kakao Login - invalid android_key_hash or ios_bundle_id or web_site_url 에러 상황 React Native에 Kakao Login기능을 구현하고 버튼을 눌러서 로그인 함수를 호출하면 아래의 오류가 발생하였다. 에러 원인 Kakao Developer API의 Hash Key가 일치하지 않아서 오류가 발생했다. 해결 방법 Android는 Kakao Hash Key에 추가로 Hash Key를 등록해줘야 한다. Hash Key를 Kakao Developer API에 추가로 등록해주면 된다. Xo8WBi6jzSxKDVR4drqm84yr9iU= 참고 https://github.com/crossplatformkorea/react-native-kakao-login/issues/223 로그인시 'Login Failed:E_AUTHORIZATION_FAILED invalid android_ke.. 📱Mobile/오류해결 2023. 3. 20. 이전 1 2 다음